Chapter2. 윈속 디자인
연결지향과 비연결형
- 연결지향 : 데이터 교환에 앞서 두 지점간의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경로가 설정.
라우팅이 가능, 응답 가능 상태 여부도 알 수 있고, 데이터의 무결성도 보장해 준다.
그러나 이로인해 상당한 오버헤드(부하)도 존재할 수 있다.
- 비연결형 : 상대방이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는지 검사하지 않는다.
UDP와 같은 비연결형 프로토콜에서는 윈속 이용하여 cnnect 함수를 호출 할 수있으나 실제 연결된 것은 아님.
신뢰성(Reliability)과 도착 순서보장(Ordering)
* 신뢰성 이란?
송신측으로부터 송신한 데이터가 전부다 수신측에 정확히 도착하는 것! (데이터의 무결성도 보장)
* 도착 순서보장이란?
송신측에서 송신한 순서대로 데이터가 수신측에 도착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.
- 대부분의 경우, 연결중심의 프로토콜에서는 신뢰성을 보장한다.
비연결형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무결성과 도착 순서보장과 같은 연결중심 프로토콜에서의 기능이 없지만 속도가 빠르다.
그래서 게임 프로그램의 프로토콜에 적합!
Graceful Close
- 연결지향 프로토콜에만 해당되는 사항.
- graceful close에서는 한쪽에서 연결을 종료하기 위하여 시도할 때 다른 한쪽에서는 아직 네트웍의 전송선이나 네트웍 스택에 남아있는 데이터를 수신 가능!
브로드캐스트(Broadcaset Data)
- 하나의 워크스테이션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LAN상의 모든 워크스테이션에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.
- 비연결 프로토콜에서 가능
- 단점 : 모든 장치들이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수신(pick up)하게 된다는 것
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시 LAN의 모든 장치를 트래픽의 수렁에 빠지게 할 것이다.
* 일반적으로 라우터는 테으웍(WAN)간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파하지 않는다.
멀티캐스트(Multicast Data)
-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수신측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.
- 멀티캐스트 세션(multicast session)에 참가하는 방법
IP 프로토콜 :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를 원하는 호스트가 특별한 그룹에 참가해야 한다.
QOS(Quality of Service)
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할 특정한 네트웍 대여폭(network handwidth)을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
ex )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(realtime video stream) 프로그램 [10장에서 자세히 다룬다니 그때 다시..^^ ]
Partial Message
- 메시지 중심으 프로토콜 (message-oriented protocol)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술
- 프로토콜이 partial message를 지원한다면.. 전체의 메시지의 일부만을 수신하여도 수신측에 통보(notify)될 것!
윈속 카탈로그(WInsock Catalog)
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!
* 프로토콜의 정보를 얻어내는 함수
int WSAEnumProtocols (
LPINT lpiProtocols,
LPWSAPROTOCOL_INFO lpProtocolBffer,
LPDWORD lpdwBufferLength
);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