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v4
미국방성의 ARPA에 의하여 개발되었다.
주소 체계 (Addressing)
- 32 bit의 숫자로 표시한다.
- IPv4 어드레스는 8bit의 점(.)으로 분리된 숫자로 표시하기도 한다. (ex - 127.0.0.1)
- 해당 클래스(class)에 따라
▶ 네트웍 부분(Network portion, 네트웍을 표시하는 부분)
▶ 엔드포인트 부분(endpoint portion, 네트웍의 종단지점을 표시하는 부분)
으로 나눌 수 있다.
* 루프백 어드레스 (loopback address)
= 127.0.0.1 [ 로컬 컴퓨터를 참조 할 때 사용 ]
유니캐스트 (unicast)
- 각각의 컴퓨터의 네트웍 인터페이스에 지정된 어드레스를 말한다.
-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만이 하나의 유니캐스트 어드레스 사용 가능!
- 유니 캐스트 어드레스는 정적으로도 지정될 수 있고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서버에 의하여 동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.
멀티캐스트 (Multicast)
- 그룹에 참가하고자 하는 컴퓨터는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에 가입하게 된다.
- 장점 : 데이터를 받고자 하는 컴퓨터들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해 줄 수 있다는 것!
브로드캐스트 (Broadcast)
-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인 255.255.255.255 로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웍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수신하고 처리한다.
따라서 이 데이터를 처리할 필요가 없는 컴퓨터도 이 패킷을 수신하고 처리해야만 한다.
- 만일 응용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킹이 꼭 필요하다면 subnet directed broadcast(서브넷 브로드캐스트)를 사용하길 권장
한다.
IPv4의 관리용 프로트콜들 (IPv$ Management Protocols)
-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32bit IPv4 address를 하드웨어 어드레스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.
-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전송 상태와 에러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.
메시지에는 에코 요청과 응답(ping), destination unreachable (수신측에 전달 불가), 시간 초과 등이 있다.
- IGMP 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
멀티캐스트 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.
응용프로그램이 자신의 호스트를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시키면 호스트에서는 IGMP 메시지가 전송된다.
윈속을 이용한 IPv4의 주소 지정
윈속에서는 구조체 SOCKADDR_IN을 이용하여 주소와 포트를 지정한다.
struct sockaddr_in
{
short sin_family ; // IP를 사용하는 경우에 AF_INET으로 설정
u_short sin_port ; // 서버측에서 사용하는 TCP / UDP 포트
struct in_addr sin_addr ; // 네트웍 바이트 오더(network byte order)로 4byte의 IP어드레스 지정
char sin_zero[8] ; // SOCKADDR_IN의 크기를 SOCKADDR의 크기와 일치시키기 위한 바이트
}
댓글 없음:
댓글 쓰기